온달 (溫達) 해석/번역

 

 

溫達。高句麗平岡王時人也。
온달은, 고구려 평강왕 때 사람이다.
容貌龍鐘可笑。中心則睟然。
용모는 추하여 가소로웠지만, 속마음은 명민했다.
家甚貧。常乞食以養母。
집안이 몹시 가난하여, 늘 음식을 구걸해 부모를 봉양했다.
破衫弊履。往來於市井間。時人目之爲愚溫達。
다 떨어진 적삼과 너덜너덜해진 짚신을 신고, 저작거리 사이를 오가면, 당시 사람들이 그를 지목해 바보온달이라 하였다.
平岡王少女兒好啼。王戱曰。汝常啼聒我耳。長必不得爲士大夫妻。當歸之愚溫達。
평강왕의 막내딸이 어렸을 때 잘 울었으니, 왕이 놀리며 말하길,“네가 늘 울어 내 귀를 시끄럽게 하니, 크면 필경엔 사대부 집안의 아내가 되지 못하고, 마땅히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련다.”
王每言之。
왕이 매번 그 말을 했다.
及女年二八。欲下嫁於上部高氏。
막내 딸 나이가 16살이 되었을 때, 상부 고씨 집안에 시집보내고자 하였다.
公主對曰。大王常語。汝必爲溫達之婦。今何故改前言乎。匹夫猶不欲食言。況至尊乎。故曰。王者無戱言。今大王之命。謬矣。妾不敢祗承。
공주가 대답하길,“대왕마마께서 항상 말씀하시기를, ‘너는 반드시 온달의 아내가 될 거다.’ 하시더니, 지금 무슨 까닭으로 이전의 말씀을 바꾸시는지요? 평범한 사내조차 헛된 말 하고자하지 않거늘, 하물며 지존께서 있어서겠습니까? 옛 말에, ‘왕 된 자 희롱하는 말을 말라.’라 하였나이다. 지금의 대왕의 명령은, 잘못되었사오니, 첩은 감히 받들어 따를 수 없나이다.”
王怒曰。汝不從我敎。則固不得爲吾女也。安用同居。宜從汝所適矣。
왕이 노여워 말하니,“네가 내 가르침을 따르지 않나니, 그렇다면 진실로 내 딸이라 할 수 없구나. 어찌 함께 살리오? 마땅히 네가 가고자 하는 바를 따르거라.”
於是。公主以寶釧數十枚繫肘後。出宮獨行。路遇一人。問溫達之家。乃行至其家。
이때에, 평강공주가 보석으로 된 팔찌 수십 가락을 자기 팔뚝 뒤에 묶고는, 궁을 나서 혼자 걸어가는데, 길가에서 한 사람을 우연히 만나, 온달의 집을 물어, 이에 찾아가 그의 집에 도달했다.
見盲老母。近前拜。問其子所在。
눈먼 늙은 어미를 만나, 가까이 다가가 그 앞에서 절을 올리고, 그 아들이 있는 곳을 물었다.
老母對曰。吾子貧且陋。非貴人之所可近。今聞子之臭。芬馥異常。接子之手。柔滑如綿。必天下之貴人也。因誰之侜。以至於此乎。惟我息不忍饑。取楡皮於山林。
늙은 어미가 대답하기를,“저의 자식 놈은 가난한데다가 비루하니, 귀한 분이 가까이 할 바가 아니며, 게다가 지금 그대의 몸에서 나는 채취를 맡아보니, 평범하지 않은 향기가 나고, 그대의 손을 만져보니, 보드랍기가 마치 솜 같아서, 필경 천하에 귀하신 분입니다. 누구의 꾐으로 인해, 여기에까지 이르셨나이까? 제 자식은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저 산 숲속에서 느릅나무 껍질을 가지러 갔나이다.”
久而未還。公主出行。至山下。見溫達負楡皮而來。
한참을 기다려도 온달이 돌아오지 않자, 공주가 몸소 나서서, 산 아래에 이르렀을 때, 등에 느릅나무 껍질을 짊어지고 내려오는 온달을 만났다.
公主與之言懷。溫達悖然曰。此非幼女子所宜行。必非人也。狐鬼也。勿迫我也。
공주가 그에게 속마음을 말하자, 온달이 화를 내며 말하길,“이런 짓은 어린 여자가 마땅히 할 바가 아니다. 필경 사람이 아니라, 여우귀신일 것이다. 내게 가까이 오지 마라.”
遂行不顧。
그리고는 마침내 길을 떠나 뒤돌아보지도 않았다.
公主獨歸。宿柴門下。明朝更入。
공주는 홀로 온달의 집으로 돌아가서, 사립문 아래에서 잠을 자고는, 다음날 아침에 다시 들었다.
與母子備言之。
온달 모자에게 갖추어 말하였다.
溫達依違未決。其母曰。
온달이 망설이며 결정하지 못하자, 그 어미가 말했다.
吾息至陋。不足爲貴人匹。吾家至寠。固不宜貴人居。
“저의 자식은 몹시 비루하여, 귀한 분 배필 되기에 부족하며, 저의 집안은 몹시 가난하여, 진실로 귀한 분이 사시기에 마땅치 않나이다.”
公主對曰。古人言。一斗粟猶可舂。一尺布猶可縫。則苟爲同心。何必富貴然後可共乎。
공주가 대답하길,“옛 사람이 말하기를,‘한 말의 좁쌀조차 방아 찧어 형제가 나누어 먹을 수 있고, 한 척의 베조차 바느질 할 수 있다.’고 하였사온즉, 진실로 마음을 하나로 한다면, 어찌 반드시 부귀해진 뒤에야 함께 살 수 있는 건가요?”
乃賣金釧。買得田宅·奴婢·牛馬·器物。資用完具。
곧이어 금가락지를 팔아, 땅과 집과 노비와 소와 말과 온갖 집기를 사들이니, 쓸 물품이 완전히 구비되었다.
初。買馬。公主語溫達曰。愼勿買市人馬。須擇國馬病瘦而見放者。而後換之。
그런데 그 전에, 말을 사들일 때, 공주가 온달에게 말하길,“신중히 하셔서 저작거리에서 파는 말은 사지 마세요. 모름지기 병들어 삐쩍 말라 쫓겨난 국마를 고르셔서, 나중에 사셔야 해요.”
溫達如其言。
온달이 그녀가 한 말처럼 하였다.
公主養飼甚勤。馬日肥且壯。
공주가 말을 먹여 기르기를 몹시 부지런히 하니, 말이 날로 살이 찌고 또 튼튼해졌다.
高句麗常以春三月三日。會獵樂浪之丘。以所獲猪鹿。祭天及山川神。
고구려는 늘 봄 음력 3월 3짓날, 저 낙랑 언덕에서 모여 사냥을 했는데, 그 날 포획한 멧돼지와 사슴으로, 하늘과 산과 강의 신에게 제사지냈다.
至其日。王出獵。群臣及五部兵士皆從。
그날이 되자, 평강왕이 궁궐을 나와 수렵을 하니, 뭇 신하들과 5부 소속 병사들이 모두 시종하였다.
於是。溫達以所養之馬隨行。其馳騁常在前。所獲亦多。他無若者。
이때, 자기가 길렀던 말을 가지고 그 왕의 무리를 따라가니, 그가 날래게 뛰어나가 항상 무리의 앞에 섰으며, 잡은 것도 또한 많아, 다른 사람 가운데 그만한 자가 없었다.
王召來。問姓名。驚且異之。
왕이 불러, 성명을 묻고, 한편으로는 놀라워하면서도 또한 기특하게 여겼다.
時後周武帝出師。伐遼東。王領軍逆戰於拜山之野。
마침 그때 후주의 무제가 병사들을 내어, 요동을 정벌하니, 왕이 배산의 들판에서 군대를 이끌고 맞이해 싸웠다.
溫達爲先鋒。疾鬪斬數十餘級。諸軍乘勝奮擊大克。
온달이 선봉장이 되어, 맹렬히 싸워 적 수십여 명의 머리를 베어내니, 모든 군사들이 승기를 타서 힘써 싸워 크게 승리했다.
及論功。無不以溫達爲第一。
전공을 논함에 미치어, 온달을 제일로 삼지 않는 이가 없었다.
王嘉歎之曰。是吾女壻也。備禮迎之。賜爵爲大兄。
왕이 가상히 여기어 감탄하며 말하길,“이 친구는 내 사위일세.”하고, 사위로서의 예를 갖추어 맞이하고, 대형의 작위를 내려주었다.
由此寵榮尤渥。威權日盛。
이로 말미암아 임금으로부터 총애 받는 영광이 더욱 깊어지고, 권위가 날로 성대해졌다.
及陽岡王卽位。溫達奏曰。
양강왕이 즉위함에 미치어, 온달이 임금에게 말하였다.
惟新羅割我漢北之地爲郡縣。百姓痛恨。未嘗忘父母之國。願大王不以愚不肖。授之以兵。一往必還吾地。
“저 신라 놈들이 우리 한강 이북의 땅을 빼앗아서 자신들의 군현으로 삼으니, 백성들이 몹시 한스러워하며, 부모의 나라인 우리 고구려를 잠시도 잊지 못하고 있나이다. 원컨대 대왕께오서 저를 못났다 여기지 않으시고, 병사를 내려주신다면, 한 번 가서 반드시 우리 땅을 되찾아오겠나이다.”
王許焉。
왕이 허락했다.
臨行誓曰。鷄立峴·竹嶺已西。不歸於我。則不返也。
행군에 임하여 맹서하기를,“계립현과 죽령 서쪽을, 우리 땅에 귀속시키지 못한다면, 돌아오지 않으리라.”
遂行。與羅軍戰於阿旦城之下。爲流矢所中。路而死。
마침내 행군하여, 신라군과 아달산성 아래에서 싸웠는데, 날아다니는 화살에 적중되어, 객지에서 죽었다.
欲葬。柩不肯動。
장례 지내려고 했는데, 관이 움직이려하지 않았다.
公主來撫棺曰。死生決矣。於乎歸矣。
공주가 찾아와 관을 어루만지며 말하길,“죽느냐 사느냐하는 것이 결판났사오니, 아아 돌아갑시다.”
遂擧而窆。
그러자 마침내 움직여 장례 지냈다.
大王聞之悲慟。
대왕이 그 소식을 듣고 슬퍼 애통해하였다.

 

강수 (强首) 해석

 

 

强首。中原京沙梁人也。
강수는, 중원경의 사량부 사람이다.
父昔諦奈麻。其母夢見人有角而妊身。
아버지는 내마 벼슬을 하던 석제요, 그 어미가 꿈속에서 뿔 달린 사람을 보고는 임신했다.
及生。頭後有高骨。
그가 탄생함에 미치자, 뒤통수에 높이 솟은 뼈가 있었다.
昔諦以兒就當時所謂賢者。問曰。此兒。頭骨如此。何也。
석제가 자기 자식을 데리고 당시에 이른바 현명하다는 사람을 찾아가, 묻기를,“이 아이는, 머리뼈가 이렇게 생겼는데, 어떻습니까?”
答曰。吾聞之。伏羲虎形。女媧蛇身。神農牛頭。皐陶馬口。則聖賢同類。而其相亦有不凡者。
대답하기를,“내 듣건대, 복희 황제는 호랑이 얼굴이었고, 여와는 뱀 몸이었으며, 신농씨는 소머리였고, 고요는 입이 말처럼 생겼다 한즉, 성인이나 현인은 그 류가 비슷하여, 그 모습에 또한 비범한 구석이 있었소이다.
又觀兒首有黶子。於相法。面黶無好。頭黶無惡。則此必奇物乎。
게다가 아이 머리에 검은 점이 있는 것을 보니, 관상 보는 법에 있어, 얼굴에 있는 검은 점은 좋지 않지만, 머릿속에 있는 검은 점은 나쁘지 않다 하였은즉, 이 친구는 필경 귀한 인물이 될 거요.”
父還謂其妻曰。爾子非常兒也。好養育之。當作將來之國士也。
그 아비가 집으로 돌아와 아내에게 말하길,“네가 낳은 자식이 평범한 아이가 아니다. 잘 길러라. 내 마땅히 장차 국사를 만들리라.” 
及壯。自知讀書。通曉義理。父欲觀其志。問曰。
성장함에 미치어, 저 스스로 책을 읽을 줄 알게 되어, 책에 담긴 의미와 내용에 대해 두루 밝게 되니, 그 아비가 자식의 속마음을 알고자 물었다.
爾學佛乎。學儒乎。
“너는 불교를 배우겠느냐, 유교를 배우겠느냐?”
對曰。愚聞之。佛世外敎也。愚人間人。安用學佛爲。願學儒者之道。
대답하기를,“어리석은 제가 들었사온데, 저 불교는 세속 밖의 가르침이라 합니다. 저는 인간세계의 사람이니, 어찌 불교를 배우겠사옵니까? 유자의 도를 배우길 원합니다.”
父曰。從爾所好。
아비가 말하길,“네가 좋아하는 바를 따르거라.” 
遂就師。讀孝經曲禮爾雅文選。所聞雖淺近。而所得愈高遠。魁然爲一時之傑。
마침내 스승에게 나아가, 효경과 곡례와 이아와 문선을 읽었는데, 스승에게 들은 바는 비록 얕고 가까운 것일지라도, 그가 터득한 것은 훨씬 수준이 높고 원대한 것이어서, 우뚝 서서 한 시대의 인재가 되었다.
遂入仕歷官。爲時人聞。
마침내 벼슬살이에 들어가 여러 벼슬을 두루 역임하니, 당시 사람들에게 널리 유명해졌다.
强首嘗與釜谷冶家之女野合。情好頗篤。
강수는 일찍이 부곡지역의 대장장이 집안의 딸과 더불어 야합하여, 정이 좋아 자못 돈독하였다.
及年二十歲。父母媒邑中之女有容行者。將妻之。强首辭不可以再娶。
나이가 20세가 됨에 미치어, 그 부모가 읍 가운데 사는 여자 가운데 용모와 행실이 있는 자를 중매 서서, 장차 아내삼아주려 하자, 강수가 두 번 장가들 수는 없다면서 사양하였다.
父怒曰。爾有時名。國人無不知。而以微者爲偶。不亦可恥乎。
아버지가 성이 나 말하길,“너는 요즘 명성이 자자하여, 나라 사람들 가운데 모르는 자가 없느니라. 그런데 미천한 자로 배우자를 삼으면, 또한 부끄럽지 않을 수 있겠느냐?”
强首再拜曰。貧且賤非所羞也。學道而不行之。誠所羞也。嘗聞古人之言曰。糟糠之妻。不下堂。貧賤之交。不可忘。則賤妾所不忍棄者也。
강수가 두 번 절하며 말하길,“가난하고 천한 것은 부끄러울 바가 아닙니다. 도를 배우고도 행하지 않는 것이, 진실로 부끄러워해야 할 바입니다. 제 일찍이 옛 사람의 말을 들었사온데, 술지게미나 쭉정이를 함께 먹으며 고생했던 아내를, 마루에서 내려가게 하지 않고, 가난하고 신분이 천했을 때 사귀었던 친구는, 잊어서는 안된다고 하였사온즉, 저 천한 계집은 제가 차마 버릴 수 없는 사람입니다.”
及太宗大王卽位。唐使者至。傳詔書。其中有難讀處。
태종 무열왕이 즉위함에 미치어, 당나라 사신이 이르러, 황제의 조서를 전해주었는데, 그 가운데 해독하기 어려운 것이 있었다.
王召問之。在王前一見說釋無疑滯。王驚喜。恨相見之晩。
왕이 불러서 자문을 구하니, 왕 앞에서 한 번 슥 보고 설명하면서 해석함에 의심스럽거나 막히는 곳이 없었으니, 왕이 뛸듯이 기뻐하며, 서로 만난 것이 늦었음을 한탄하였다.
問其姓名。對曰。臣本任那加良人。名牛頭。
그의 성과 이름을 물으니 대답하기를,“신은 본디 저 임라부 가랑 땅 사람으로, 이름은 소머리입니다.”
王曰。見卿頭骨。可稱强首先生。
왕이 말하길,“그대의 머리뼈를 보니, 센 머리 선생이라 부를만하구려.”
使製廻謝唐皇帝詔書表。文工而意盡。王益奇之。
당나라 황제가 보내온 조서에 대해 감사의 서신을 돌려보내는 표를 짓게 하니, 문장이 공교롭고 담긴 뜻이 곡진하여, 왕이 더욱 기특하게 여겼다.
不稱名。言任生而已。
이름을 부르지 않고, 항상 임생이라고 부를 따름이었다.
强首未嘗謀生。家貧怡如也。
강수는 단 한 번도 생계를 도모하지 않았으니, 집안이 가난한데도 늘 기쁜 마음으로 살아갔다.
王命有司。歲賜新城租一百石。
왕이 관리에게 명하여, 신성지역에서 나오는 조세 일백 석을 주라하였다.
文武王曰。强首文章自任。能以書翰致意於中國及麗濟二邦。故能結好成功。
그러자 문무왕이 말하길,“강수는 문장으로 스스로 떠맡아, 외교서신으로써 중국과 고구려와 백제에 우리나라의 뜻을 전달할 수 있었으니, 그런 까닭에 우방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我先王請兵於唐。以平麗濟者。雖曰武功。亦由文章之助焉。則强首之功。豈可忽也。
돌아가신 나의 선왕께서 당나라의 병사들을 요청하여, 고구려와 백제를 평정할 수 있었던 것은, 비록 무력을 통한 성공이라고 말들 하지만, 또한 외교문장의 도움으로 말미암은 것 또한 있었은즉, 저 강수의 공로를, 어찌 소홀히 할 수 있겠는가?”
授位沙飡。增俸歲租二百石。
사창 직위를 제수하고, 해마다 조출되는 곡식 이백 석을 더해주었다.
至神文大王時卒。葬事官供其賻。
신문대왕 때에 이르러 죽었는데, 장례지내는 일에 있어 관아에서 그 돈을 제공하였다.
贈衣物匹段尤多。家人無所私。皆歸之佛事。
장례치를 때 입을 의물과 비단들을 몹시 많이 내려주었는데, 그 집안사람이 사적으로 하는 바 없이, 모두 불사하는 데 바쳤다.
其妻乏於食。欲還鄕里。
그 아내가 먹을거리가 떨어져, 고향마을로 돌아가고자 했는데,
大臣聞之。請王賜租百石。
조정의 대신들이 그 소식을 듣고, 왕에게 조출되는 곡식 가운데 백 석을 내려줄 것을 요청했다.
妻辭曰。妾賤者也。衣食從夫。受國恩多矣。
그 처가 사양하며 말하길,“첩은 천한 사람입니다. 입고 먹는 것을 남편을 따라 하다보니, 나라 은혜 입는 것이 많습니다.
今旣獨矣。豈敢再辱厚賜乎。
지금 이미 홀로 되었사오니, 어찌 감히 다시 은사를 받겠사옵니까?”
遂不受而歸。
마침내 받지 않고 돌아갔다.
新羅古記曰。文章則强首帝文守眞良圖風訓骨畨。
신라고기에 말하길,“문장인즉 강수, 제문, 수진, 양도, 풍훈, 골번이라.”
而帝文已下。事逸。不得立傳。
제문이라는 사람부터 그 이하 사람들은, 그 사적이 모두 일실되었으니, 입전할 수가 없다.

도미 (都彌) 해석

 

都彌。百濟人也。
도미는, 백제 사람이다.
雖編戶小民。而頗知義理。
비록 호에 편입되어있는 소민이었지만, 자못 의리를 알았다.
其妻美麗。亦有節行。爲時人所稱。
그 아내도 아름다웠는데, 또한 남편처럼 절개 있는 행실이 있어, 당시 사람들로부터 칭찬하는 바 되었다.
蓋婁王聞之。召都彌與語曰。
개루왕이 그 소식을 듣고, 도미를 물러 함께 말하길,

凡婦人之德。雖以貞潔爲先。若在幽昏無人之處。誘之以巧言。則能不動心者。鮮矣乎。

“무릇 세상의 아녀자들이 갖추고 있는 덕이라는 것은, 비록 정절로서 우선을 삼고 있지만, 만약 으슥하여 다른 사람이 없는 곳에서, 번지르르한 말로 꾀면, 그 마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는 자가, 드물 것이다.
對曰。人之情不可測也。而若臣之妻者。雖死無貳者也。
도미가 대답하기를,“사람의 속마음은 예측할 수는 없는 것이지요. 그러나 저의 아내 같은 사람은, 비록 죽을지언정 두 마음이 없을 사람입니다.”
王欲試之。留都彌以事。使一近臣。假王衣服馬從。夜抵其家。使人先報王來。謂其婦曰。
왕이 떠보고자 하여, 도미를 일을 핑계로 머물게 하고, 한 명의 가까운 신하로 하여금, 왕의 의복과 말과 시종들을 꾸미게 하여, 밤에 그의 집에 가게하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먼저 왕이 납신다고 알리게 하면서, 그 아내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게 하였다.
我久聞爾好。與都彌博得之。來日入爾爲宮人。自此後。爾身吾所有也。
“나는 네가 예쁘다는 소식을 오래전부터 들어왔다. 그래서 도미와 도박하여 너를 얻었으니, 내가 내일 너를 궁녀로 들이리라. 지금 이후부터는, 네 몸은 내 것이다.”
遂將亂之。妻曰。國王無妄語。吾敢不順。請大王先入室。吾更衣乃進。
마침내 곧 음란한 짓을 하려고 하니, 그 아내가 말하길,“국왕께선 망령된 말을 하지 않으실 것이니, 제가 어찌 감히 따르지 않겠어요? 청컨대 대왕께서 먼저 방에 들어가시면, 제가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 나아가겠어요.”
退而雜餙一婢子薦之。
물러나서 한 몸종을 이리저리 꾸며서 잠자리를 모시게 하였다.
王後知見欺。大怒。誣都彌以罪。矐其兩眸子。使人牽出之。
왕이 그 뒤에 속았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노하여, 도미를 죄로써 얽어내어, 그의 두 눈동자를 빼버리고, 사람으로 하여금 끌어내게 하였다.
置小船。泛之河上。遂引其婦。强欲淫之。
도미를 작은 나룻배에 태워, 강물 위에 띄워 보내고, 마침내 그 아내를 끌어와, 강제로 겁간하려고 하였다.
婦曰。今良人已失。單獨一身。不能自持。況爲王御。豈敢相違。

아내가 말하길,“지금 저의 낭군님이 이미 사라지셨으니, 저는 홀로 이 몸뚱이 하나입니다. 스스로 지탱할 수 없사옵니다. 하물며 왕께서 명령을 내리시는데, 어찌 감히 어기겠어요?

今以月經。渾身汚穢。請俟他日薰浴而後來。
다만 지금 월경을 하고 있어, 온 몸이 더럽사오니, 청컨대 다른 날을 기다려 목욕을 한 뒤에 찾아뵙겠사옵니다.”
王信而許之。
왕이 믿고 허락하였다.
婦便逃至江口。不能渡。呼天慟哭。
아내가 곧바로 도주하여 강의 어귀에 이르렀는데, 강을 건널 수 없으니, 하느님이시여 하고 외치며 통곡하였다.
忽見孤舟隨波而至。
문득 보니 배 한 척이 물결을 타고 이르는 것을 보았다.
乘至泉城島。遇其夫未死。掘草根以喫。
배에 올라 천성도에 이르렀는데, 아직 죽지 않아 풀뿌리를 캐먹고 있던 남편을 만났다.
遂與同舟。至高句麗芮山之下。麗人哀之。丐以衣食。
마침내 한 배를 타고서, 고구려의 예산 땅 아래에 이르니, 고구려 사람들이 불쌍히 여기어, 입을 것과 먹을 것을 내주었다.
遂苟活。終於羈旅。
마침내 구차하게 살다가, 남의 나라 땅에서 죽었다.

+ Recent posts